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기본, 전략

주식 차트 보는 방법 - 2/캔들

by 하마부리 2023. 4. 11.
728x90
반응형

지난번 글에 이어 이번에도 차트 보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차트에서의 각 캔들(봉)에 따라 참고하실 사항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각 캔들의 모양을 참고한다면 주식을 사고파는 시점에 대해 좀 더 확신을 가지실 수 있을 겁니다.

물론, 주식은 항시 변수가 많기에 해당 캔들이 나왔다고 해서 꼭 상승, 하락이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추이를 예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장대양봉>

시가가 저가로 시작한 후, 계속 상승하여 당일 최고가로 마감함으로써 긴 양봉 모양을 만든 형태입니다. 특히 저점에서 발생할 경우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알리는 강력한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이런 긴 양봉의 경우 많은 매수대기자들의 관심을 가지게 만들고 집중적으로 매수하고자 하는 형태가 됩니다. 이때 상승세가 완만하게 지속되고 있는지 거래량은 충분히 증가되었는지를 보며 신뢰성을 판단해야 합니다.

전체 차트를 보며 장대양봉이 나타난다면 이는 조만간 큰 상승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보유자라면 보유, 대기 매수자라면 분할매수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장대음봉>

시가가 최고가로 시작하여  장중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며 매도세가 추가적인 매도를 유도함으로써 긴 음봉 모양을 만든 형태입니다.

장대 음봉은 전형적인 하락 신호로 다음날 추가 하락의 위험이 큽니다. 때론 봉의 길이와 현 주가 위치에 따라 조정이라던지 다른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겠지만, 고점에서 장대음봉이 발생한 경우라면 본격적인 하락 추세로전환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나 그 전 매수세를 넘는 또는 비슷한 거래량을 수반한 경우에는 추세전환이 됨을 의미함으로 기존 보유자는 강력 매도 시점입니다. 

단, 장대 음봉은 하락 추세에서라면 단기 투매 가능성인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망치형>

망치형 캔들은 해당 종목의 추세의 천정권이나 바닥권에서 발생할 경우 추세 전환의 신호입니다. 일반적으로 장중 시초가 밑으로 밀리다 오후 마감시간이 다가오며 시초가를 뚫는 강력한 상승을 보이며 최고가로 마감한 형태입니다.

여기서 망치형 모양으로 더 좋은 것은 아래꼬리가 몸통의 2배 이상 만들어 지고, 거래량이 수반되는 경우 가장 좋은 망치형 캔들이 되겠습니다.

하락 중이 었던 종목이라면 상승 추세로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에 매수 신호로 활용됩니다. 세력이 물량을 저가에서 매집하였다는 것임으로 향후 주가가 상승될 경우가 높은 매수급소가 될 것입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해당 종목이 급 상승 중에 이러한 망치형이 나왔다면, 세력 물량이 일부 소화되었다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다음 추세를 유심히 보아야 합니다.

<역망치형>

망치형과는 반대로 매수세에 의해 고가까지 상승하다 매도세에 밀려 장중 조정을 받은 흐름입니다. 윗꼬리가 길게 달리는 모양으로 고가권이라면 단기 조정이 될 가능성이 높기에 매도 또는 유심히 관망이 필요합니다. 다만, 이 역시 하락 추세에서 나온다면 상승 추세로의 전환이 된다는 신호가  되기도 합니다.

<교수형>

장 시작과 함께 많이 하락하다가 장 마감에 임박해서는 매수세가 유입되어 상승하는 흐름으로 아래꼬리가 달린 음봉입니다. 추세 상승의 마무리 국면에서 이러한 음봉이 발생한다면 하락추세로 반전할 가능성이 높고 저점에서 발생한다면 상승 전환의 신호로 분석됩니다.

 

 

 

주식 수급에 따라 매매하기/ 세력 매집 파악

주식 투자를 하며 한 번쯤은 "수급은 모든 재료에 우선한다"는 말을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수급, 즉 돈이 몰리는 곳, 사람들이 관심이 모이는 곳은 실체가 있던 기대심리로든 상승할 수밖에 없

amdnbr.tistory.com

 

 

주식 감자 주가 영향 - 1편/유상감자

주식 시장에서 감자(Reduction of capital)는 보통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만나게 됩니다. 이 감자라는 것은 '자본 감소'를 말하는 것으로 , 주식회사가 회사 분할, 사업 보전

amdnbr.tistory.com

 

반응형

댓글